반응형

임대차 가계약 취소 가능할까
임대차 가계약 취소 가능할까

 

목차

  1. 한눈에 보는 결론
  2. 상황별 분기: 무엇을 확인할까
  3. 계약금·가계약금·해약금 핵심 정리
  4. 누가 취소(해제)할 수 있나
  5. 중개보수·실비·환불 기준
  6. 실전 대응 플레이버북(바로 쓰는 절차)
  7. FAQ
  8. 정리·체크리스트

한눈에 보는 결론

핵심 요지는 다음 두 가지다.

  • 새 임대차 ‘본계약’이 아직 성립 전이라면, 통상 매수·임차 희망자가 보낸 가계약금명시적 해약금 약정이 없는 한 임대인(또는 상대방)이 자동 몰취할 수 없다. 반환 협상·조정 가능성이 높다. 대법원 2022다247187 판결 취지다.
  • 새 임대차 ‘본계약’이 성립 후라면, 해제권은 그 계약 당사자(보통 임대인·새 세입자)에게 있다. 기존 세입자는 당사자가 아니므로 일방 취소가 불가하며, 합의·일정 조정·손해배상 정산이 현실적 해법이다.

즉, “집을 내놓은 걸 취소”할 수 있는지 여부는 ① 본계약 성립 여부② 계약금의 법적 성격이 갈라준다.

상황별 분기: 무엇을 확인할까

  1. 본계약 성립 여부 확인
    • 임대인·새 세입자 간 서명된 계약서,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 교부, 계약금 수령 등 핵심 요건이 있으면 보통 본계약 성립으로 본다.
    • 반대로, 금액·기간·입주일 등 중요 조건 합의가 불명확하고, 일부 금전(가계약금)만 오간 단계면 ‘교섭단계’일 수 있다.
  2. 계약금 성격 확인
    • 가계약금해약금 명시가 없다면 자동 몰취 X. 반환 다툼 시 대법원 2022다247187 취지 참조.
    • 해약금으로 명시 약정이 있으면, 이행 착수 전 당사자 일방은 계약금 포기·배액상환으로 해제 가능(민법 565).
  3. 전대/승계 동의 여부
    • 기존 세입자가 후임 세입자를 들이는 형태는 원칙적으로 임대인 동의 필요(민법 629). 동의 없이 일방 취소·강행은 분쟁 리스크.

임대차 가계약 취소 가능할까임대차 가계약 취소 가능할까임대차 가계약 취소 가능할까
임대차 가계약 취소 가능할까

계약금·가계약금·해약금 핵심 정리

  • 계약금: 본계약의 증거금이자, 이행 착수 전에는 해약금 기능. 교부자=포기, 수령자=배액상환으로 해제 가능(당사자 간 다른 약정 없을 때). (민법 565)
  • 가계약금: 교섭 단계 보증적 성격. 해약금으로 볼 명시 약정이 없으면 자동 몰취 불가. 본계약 불성립 시 부당이득 반환 논리 가능(대법원 2022다247187).
  • 포인트: 이름이 중요하지 않다. “무엇을 약정했는지”가 중요하다. 버튼·메모·문자라도 해약금 명시가 있으면 민법 565 프레임이 적용될 여지가 커진다.

누가 취소(해제)할 수 있나

중요: 민법 565의 해약금 해제권그 계약의 당사자에게만 있다.

  • 임대인↔새 세입자 간 본계약이 성립했다면, 기존 세입자는 당사자가 아니므로 단독 취소 불가.
  • 이 경우 현실적 선택지는
    • 3자 합의(임대인·새 세입자·기존 세입자)로 입주일 조정 또는 계약 해제.
    • 손해분담 합의: 중개 실비, 광고비, 일정 지연 손해 등 통상손해 범위 내 정산(민법 390, 393 개념).

반대로 본계약 전이라면, 가계약금 성격해약금 명시 유무에 따라 반환·해제 설계가 달라진다.

중개보수·실비·환불 기준

  • 중개보수 지급시기: 원칙적으로 약정에 따르고, 약정 없으면 거래대금 지급 완료일(잔금일)(공인중개사법 시행령 제27조의2). 본계약 성립·대금지급 전이면 보수 청구가 곤란하다.
  • 보수·실비: 개업공인중개사는 보수를 받을 수 있으나, 중개사 고의·과실로 거래가 무효·취소·해제되면 보수 청구 불가(공인중개사법 제32조). 다만 권리관계 확인, 반환채무보장 등 입증 가능한 실비는 청구 가능(시행규칙 제20조).

 

실전 대응 플레이버북(바로 쓰는 절차)

  1. 현황 스냅샷
    • 본계약서·특약·입주일·잔금일·계약금의 명칭과 문구(해약금·위약금 여부) 확인.
    • 가계약 단계라면 필수 조건 합의 여부(보증금·월세·기간·입주일·주요 특약) 정리.
  2. 즉시 통지
    • 임대인·중개인에게 사유가능한 대안 일정(예: 입주일+2주, 다음 달 1일 등)을 서면 통지.
    • 새 세입자가 계약금 송금했다면, 성격(가계약/해약금)을 전제로 환급·정산 제안.
  3. 대안 제시 3종
    • A안: 입주일 조정(예: 2주 연기) + 중개 실비·추가 청소비통상손해 부담.
    • B안: 대체 세입자 재물색 협조 + 광고비 분담.
    • C안: 3자 합의 해제. 가계약이면 환급, 해약금 약정이면 포기·배액상환 프레임으로 종료.
  4. 합의서 필수 문구
    • 해제·변경의 효력발생일, 정산항목(실비·광고비·키 교체·임시거처비 등), 지급기한, 분쟁해결 관할.
  5. 증빙
    • 문자·이메일·계약서 사본·입금증·영수증을 폴더별 보관. 추후 분쟁 시 입증책임에 대응.

FAQ

Q1. “부동산에 계약금 입금”만 했는데 취소 가능?
가계약 단계였고 해약금 명시가 없다면 몰취 전제가 약하다. 본계약 미성립이면 반환 협의가 가능하다. 다만 이미 발생한 증빙 가능한 실비는 분담할 수 있다.

Q2. 본계약이 체결된 뒤 제가 이사를 못 가면?
해제·연기는 당사자 합의가 필요. 임대인이 새 세입자와 맺은 계약의 이행 지연으로 손해가 생기면 통상손해 범위 배상 협의가 필요할 수 있다(민법 390·393 개념). 먼저 입주일 조정비용분담 안을 제시하라.

Q3. 중개보수는 언제 내나?
약정 없으면 잔금일. 본계약·대금지급 전이면 보수 청구 곤란. 다만 권리관계 확인 등 실비는 영수증 첨부로 청구 가능.

Q4. 전대·승계로 후임 세입자를 내가 구해놨는데 이제 취소해도 되나?
전대·임차권 양도는 원칙적으로 임대인 동의 필요. 동의가 있었다면 3자 합의로 조정·해제 절차를 밟아야 한다.

정리·체크리스트

  • 1단계: 본계약 성립 여부·해약금 명시 유무 확인.
  • 2단계: 임대인·중개사·새 세입자에 지체 없이 서면 통지.
  • 3단계: 입주일 조정 또는 3자 합의 해제 + 실비/통상손해 합리 분담.
  • 4단계: 합의서로 지급항목·기한 명문화. 증빙 철저 보관.

메시지 한 줄 템플릿: “사정 변경으로 입주일을 △△로 조정하거나, 가계약 해제·정산으로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가능한 옵션과 비용 안을 검토 부탁드립니다.”

 

 

 

반응형